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귀농귀촌종합센터- 2023 농촌에서 살아보기 "먼저 살아보고 결정하세요!"

반응형

귀농귀촌종합센터에서는 '농촌에서 살아보기'사업을 통해 귀농귀촌을 고민하고 있는 사람들이 농촌에 거주하며 농촌 일자리, 농촌 생활 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성공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2023

 

 

귀농귀촌종합센터는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을 대상으로 '2023 농촌에서 살아보기'사업을 시행합니다. 원하는 농촌지역을 선택하여 3~6개월간 직접 살아보며 농촌 일자리, 농촌 생활 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 주민과의 교류 기회를 제공하여 미리 살아봄으로써 철저한 준비과정을 갖출 수 있도록 합니다.

 

 

프로그램 유형

 

'2023 농촌에서 살아보기' 사업은 크게 귀농형, 귀촌형, 프로젝트참여형으로 나뉩니다. 귀농형은 지역 주요 작품 재배기술, 농기계 샅용 등 영농 전반에 관한 활동을 지원하며, 귀촌형은 농촌이해, 주민교류, 지역탐색 등 농촌 생활 전반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프로젝트참여형은 주로 청년들에게 다양한 농촌 일자리, 활동 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단기 프로젝트입니다. 

 

 

 

 

 

 

귀농형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귀농형

 

 

귀촌형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귀촌형

 

프로젝트참여형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프로젝트참여형

 

 

프로그램 주요 내용

 

농촌이해, 체험

  • 영농기술 교육, 귀농귀촌 이해 교육, 우수농장 현장 견학 및 체험, 귀촌인 우수사례 견학, 농촌·산촌·어촌 창업 우수사례 견학, 기타 현장 견학 프로그램

농촌일자리 체험(근로수당 지급)

  • 농작업 근로, 농촌 단기 일자리, 체험마을 행사 지원

지역교류

  • 마을 리더와 주민 간담회, 지역 귀농인 간담회, 지역민과 함께 하는 마을 가꾸기, 주민과 함께하는 건강관리 교육, 기타 지역민 화합프로그램 운영

지역탐색

  • 시·군 귀농정책, 마을 문화·관광 탐방프로그램, 시·군 문화·관광지 탐험, 마을 유래 등 조사, 주택, 농지, 일자리, 자녀학교 등 지역 저변환경 탐색 기회 제공

재능 나눔

  • PC 등 컴퓨터 교육, 메이크업 강의, 전자기기 수리 및 정비, 지역아동센터 교사 등 자원봉사 프로그램 운영

 

 

 

 

 

신청절차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신청방버

 

 

1.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한 후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클릭합니다.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신청방법

 

 

2. [농촌에서 살아보기] -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신청방법

 

 

3. 시도별, 시군별로 검색이 가능하며, 신청가능한 마을, 프로그램 유형, 운영기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신청방법

 

4. 원하는 마을이의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상세 마을 정보와 지역 대표작물, 입주가능일, 숙박시설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신청방법

 

5. 숙박할 객실과 기간을 선택하고 [신청하기]를 클릭하면, 신청 접수를 확인하는 문자메시지가 발송됩니다.

 

6. 참가희망자는 모집 마감일 다음 날 운영 마을에서 진행하는 선정 심사를 위해 전화 또는 영상면접에 참여해야 하며 , 참가자로 확정이 된 경우에는 신청 승인이 되었다는 문자메시지가 발송됩니다.

 

7. 운영마을로부터 입소시간, 장소, 준비물 등 안내를 받고 해당마을로 가면 첫날 오리엔테이션과 함께 일정이 시작됩니다.

 

 

 

 

 

 

 

신청 시 유의사항

 

귀농귀촌종합센터 농촌에서살아보기 신청방법

 

 

  • 신청은 동시에 최대 3곳까지만 가능하며, 신청 시 참가계획 항목에 신청동기, 귀농귀촌 준비정도, 희망 프로그램, 향후 계획에 대해 입력해야 합니다.
  • 23년 최초 참가자 우선 선정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준비정도, 참가의지 등에 따라 '22년 참가이력이 있는 자도 예의적으로 선정이 가능합니다. 
  • 구직급여 수령자, 가족 단위 참가자, 귀농귀촌교육 10시간 이상 수료자를 우선선정합니다.
  • 직업군인은 기존의 근무지 또는 거주지가 농촌지역이라도 참가대상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인정합니다.
  • 선정이 확정된 후 정당한 사유 없이 미입소하거나 중도포기 시 당해연도 재신청이 불가합니다.
  • 참가자는 월 15일간 마을 제공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나머지는 참가자가 자체적으로 계획하여 활동합니다. 이는 참가기간 내 월별 조정 및 일 4~8시간 근로 등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합니다.
  • 숙박 및 프로그램 운영비를 지원하나 식비, 교통비 등 생활비는 본인이 부담합니다.
  • 프로젝트참여형은 청년(만 18세 이상~ 만 40세 미만)으로 제한하며 2인이상의 팀 참가자를 우선합니다.
  • 참가기간 중 당해 시군 전입 시 참가지역(타 시 지역 거주민)을 상실하게 되나, 동 사업의 취지를 감안하여 당초 예정된 기간까지 프로그램 참여를 원할 경우 계속 지원합니다.

 

2023년 농촌에서 살아보기 각 시군별 운영현황

 

시·도 시·군 마을·공동체명 유형
강원도  홍천군 삼생마을 귀농(재배품목 장기실습)
강원도 횡성군 산채마을 귀농(재배품목 장기실습)
강원도 영월군 예밀포도마을 귀촌(일반)
강원도 양구군 약수마을 귀촌(일반)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누리마을 프로젝트(사회적경제)
충청북도 증평군 죽리마을 귀촌(일반)
충청북도 괴산군 둔율올갱이마을 귀촌(일반)
충청북도 괴산군 미선나무마을 귀촌(일반)
충청북도 단양군 새밭마을 귀촌(일반)
충청남도 공주시 소랭이체험휴양마을 귀촌(일반)
충청남도 당진시 백석올미마을 프로젝트(창업연계)
충청남도 부여군 친환경까치마을 귀촌(일반)
충청남도 금산군 적벽강마을 귀촌(일반)
충청남도 청양군 칠갑산산꽃마을 귀촌(일반)
충청남도 태안군 대야도농어촌체험휴양마을 귀촌(중심기거주)
충청남도 홍성군 문당마을 귀촌(일반)
전라북도 남원시 지리산나들막마을 귀촌(중심기거주)
전라북도 장수군 문성마을 귀농(재배품목 장기실습)
전라북도 완주군 씨앗문화에술협동조합 프로젝트(일반)
전라북도 부안군 청호수마을 귀촌(일반)
전라북도 무주군 솔다박마을 귀농(재배품목 장기실습)
전라남도 구례군 지리산효장수마을 귀촌(일반)
전라남도  고흥군 금오마을생태농원소향 귀촌(일반)
전라남도 보성군 다향울림촌마을 귀촌(중심기거주)
전라남도 장성군 별내리마을 귀촌(일반)
전라남도 진도군 길은푸르미마을 귀촌(일반)
전라남도  담양군 운수대통마을 귀촌(일반)
전라남도 광양시 메아리마을 귀촌(일반)
전라남도 화순군 백아산노치마을 귀촌(일반)
전라남도 화순군 백운마을 귀농(재배품목 장기실습)
전라남도 강진군 금강까치내마을 귀촌(농촌유학)
전라남도 해남군 풀내음힐링캠프 귀촌(농촌유학)
전라남도 무안군 월선체험휴양마을 귀촌(일반)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군지역관광협의체 프로젝트(사회적경제)
경상북도 상주시 은자골마을 귀촌(일반)
경상북도  상주시 승곡마을 귀촌(일반)
경상북도 문경시 궁터별무리마을 귀촌(일반)
경상북도  의성군 일산자두골 귀촌(일반)
경상북도 영주시 피끝마을 귀촌(일반)
경상북도  고령군 개실마을 귀촌(일반)
경상북도  예천군 유천국사골마을 귀촌(일반)
경상북도 성주군 솔가람마을 귀촌(일반)
경상북도  영양군 문바우마을 귀촌(일반)
경상북도 청도군 당호리마을 귀촌(일반)
경상남도 거창군 곰내리마을 귀촌(일반)
경상남도 하동군 의신베어빌리지 귀촌(일반)
경상남도  창녕군 우포가시연꽃마을 귀촌(일반)
경상남도 창녕군 성곡오색별빛마을 귀촌(일반)
경상남도  고성군 무지돌이마을 귀촌(일반)
경상남도  함양군 마평마을 귀촌(일반)

 

 

귀농귀촌종합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이미지출처 | 귀농귀촌종합센터공식홈페이지, 충청북도공식홈페이지

반응형